부모를 산 속에 버리고 오는 고려장, 그런데 고려장은 고려와 아무 상관이 없다고 한다.
최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고려장에 대한 이야기가 누리꾼들에게 충격을 전하고 있다.
고려장은 늙은 부모를 산 채로 산 속에 버리고 오는 행동으로 전래동화등을 통해 우리나라의 과거 장례 문화로 알려져 왔다. '노인을 버리는 지게'나 '늙은 부모와 아들'등의 제목을 가진 전래동화는 모두 고려장 문화가 담겨져 있는 것으로 동화책, 교과서 등을 통해 널리 퍼지며 많은 사람들이 우리나라가 가난했던 시절 실제로 존재했었던 문화로 생각하게 되었다.

하지만 누리꾼 A씨의 주장에 따르면 고려장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았다고 한다. 누리꾼 A씨의 주장은 다음과 같다.
고려장 문화가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지게 된 것은 1924년 발간된 '조선동화집' 때문이다. 조선동화집은은 우리나라의 최초의 전래동화집으로 여기에 실린 '어머니를 버린 남자'라는 제목의 이야기가 고려장 이야기이다. 조선동화집은 우리나라 최초의 전래동화집이었기 때문에 수없이 확대되고 재생산되었고 '어머니를 버린 남자'또한 후에 나온 수많은 전래동화집에 그대로 옮겨지게 되었다.
그런데 문제는 '조선동화집'을 발간한 주체가 일제강점기 우리나라를 통치하던 '조선총독부'였다는 것이다. 누리꾼 A는 조선총독부가 고려장의 내용이 담긴 이야기를 우리나라의 전래동화인 것처럼 동화집을 만들어 고려장 문화를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처럼 생각하도록 만들었다고 주장했다.

누리꾼 A씨의 주장에 따르면 고려장처럼 늙은 부모를 내다버리는 풍습에 관한 설화는 우리나라뿐 아니라 인도, 중국, 일본, 몽고, 시베리아 및 유럽과 중동 지방에도 비슷한 설화가 있다고 한다. 그리고 누리꾼 A씨는 늙은 부모를 내다버리는 설화를 진짜 있었던 일처럼 믿고 있는 나라는 우리나라가 유일하다고 지적한다.
실제로 고려시대의 장례 풍습을 살펴보면 고려장과는 거리가 멀다. 고려시대에는 불교의 영향을 받아 주로 화장을 했으며 제대로 장례를 치를 수 없을 정도로 가난한 사람들도 늙은 부모가 죽으면 구덩이를 파고 풀로 덮어 부모의 시신을 떠나보내곤 했다고 한다.
ⓒ오펀 (www.ohfun.net)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ohfun.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