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백신은 부작용이 일부 있다. 아주 가벼운 통증으로 그치는 경우부터 시작해서 보다 심각한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그런 경우에 한국 정부가 전적으로 부작용에 대해 책임을 지게 된다. 부작용에 대해서 정부로부터 보호받지 않고, 개인이 피해를 일방적으로 입게 되는 일이 있지 않을까, 이런 염려는 전혀 하지 않아도 된다. (…중략…) 안심하고 백신접종에 임해주시길 바라겠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월 내외신 출입기자를 대상으로 한 2021 신년 기자회견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부작용과 관련한 질문에 이같이 답한 바 있다.
문 대통령의 이같은 약속에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을 겪는 이들이 반년 넘게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으로 몰리고 있는 모양새다. '위드 코로나'(단계적 일상회복)보단 '위드 코로나백신부작용'이란 말이 어울릴 정도다.
청와대 국민청원 홈페이지에 따르면 국내 백신 접종이 시작된 지난 2월26일부터 지난 3일까지 '백신'이 들어간 청원은 707개 검색된다. 물론 이중에는 백신 미접종자를 차별하는 백신패스 도입을 반대한다거나, 백신오접종 등에 대해 항의하는 내용의 청원도 있지만 대부분은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에 대한 호소로 봐도 무방하다.
이에는 고열·혈압 상승·설사·소화불량 등 가벼운 이상증세부터 급성백혈병·급성심근경색 등이 발생해 사망으로 이어졌다는 사례까지 다양했다.
이처럼 백신 접종 부작용에 대한 청원글이 쏟아지자 답변 요건 20만명의 동의를 충족한 청원은 없었으나 청와대는 일찍이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이 직접 답하는 정부 답변을 내놨다.
정 청장은 아스트라제네카(AZ) 접종 후 사지마비가 온 간호조무사의 남편이 올린 청원글과 관련 "이상반응과 관련돼서 신고된 모든 사례가 한 건 한 건 허투루 다룰 수 있는 사안은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정부가 조금 더 국민들의 의견을 경청하고 예방접종 등 제도를 개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후 코로나19 백신의 이상반응 인과성을 보다 적극적으로 검토하는 독립기구 '코로나19 백신안전성위원회'가 최근 정식 발족, 지난달 26일 첫 포럼을 연 바 있다.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은 기존 희귀 혈전증 및 심근염·심낭염, 아나필락시스 등의 이상반응 이외 추가로 인과성 인정이 확인되면 기존 이상반응 신고자들 또 신고하지 않은 환자들에도 지원과 보상을 소급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당장 이달 2일에도 '20살 꽃다운나이에 백신을 맞고 제 남동생이 백혈병진단을 받았습니다'라는 제목의 청원이 올라왔다.
청원인은 "불과 몇달 전 했던 피검사에서도 현역1급 판정을 받을만큼 건강했던 건장한 대한민국 20대 남성이 백신 1차 접종 후 불과 10일 만에 백혈병 초기증상을 보이더니 두달 만에 확진판정을 받았다"며 "백신에 대한 부작용들이 쏟아져 나오는 현 시점에서 의사들조차 밝혀내지 못하는 직접적인 인과관계를 일반인인 피해당사자가 직접 증명해야만 보상이 이뤄지는 현 제도는 상당히 비현실적이라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부디 현실적인 백신 부작용에 대한 대책 마련과 피해자들에 대한 보상안 마련을 강력하게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이글은 반나절만에 3000여명의 동의를 얻었다.
다만 앞서 대한혈액학회에서 코로나19 백신은 백혈병과 인과성이 없다고 발표한 바 있고, 지난달 질병청에서도 이같은 발표를 다시금 확인한 바 있는 상황이다.
결국 백신 이상반응이 국민들이 납득할 수 있는 범위에서 인정돼야 이같은 청원 움직임도 멈출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방역당국에 따르면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 의심신고는 총 38만5775건(11월28일 기준)이다.
여기에는 예방접종 후 접종부위 발적, 통증, 부기, 근육통, 발열, 두통, 오한 등 '일반 이상반응'과 사망, 아나필락시스 의심, 중환자실 입원, 생명위중, 영구장애·후유증 등 '중대한 이상반응'이 모두 포함된다.
ⓒ오펀 (www.ohfun.net)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ohfun.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