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추진하는 탈모약 건강보험 적용 문제가 포퓰리즘 논란을 넘어 건보 적용 전반의 형평성 문제로 이어지며 논란이 확산하고 있다.
탈모로 고통받는 사람들을 감안할 때 이는 복지보다는 보건 문제로 보고 건강보험을 적용해야 한다는 이 후보의 발언이 나오자 당장 건보 적용을 못받는 암·희귀병에 대한 보험 지원이 우선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나아가서 탈모가 고통이라면 비만이나, 성전환수술, 임플란트에도 적용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는 주장으로도 이어진다.
7일 JTBC가 자체 홈페이지를 통해 '탈모약 건강보험 적용 어떻게 생각하십니까'라는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날 오전 11시 기준 1만3717명이 투표에 참여한 가운데 찬성 50%(6934명), 반대 49%(6744명)로 팽팽히 맞서고 있다.
지난 5일부터 실시된 이번 투표는 이날 오전 9시까지만 해도 반대 86%, 찬성 12%로 반대가 압도적으로 많았으나 이 후보 지지층의 투표 독려 이후 찬성표가 크게 늘었다.
찬반이 엇갈린 가운데 반대 측에서는 재정 부담과 함께 형평성 문제가 가장 많이 거론됐다.
A씨는 "의료 관련해서는 목숨과 관련된 부분이 최우선돼야 한다"며 "신약 항암제나 희귀병도 의료보험 적용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당연히 이게 우선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이어 "무슨 유전이나 노화로 인한 탈모까지 지원을 하겠다는 것인가"라며 "그럼 유전적으로 코가 낮아서 스트레스를 받으면 건보 적용해줄 것인가"라고 비판했다.
A씨는 또 "트렌스젠더들은 자신에게 맞는 성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성전환 수술을 받아야 하는데) 건보 지원을 하나도 받지 못하는데 탈모보단 이게 우선 아닌가"라며 형평성을 거론했다.
B씨는 "가슴확대 수술도 지원해주고 오다리 교정도 해주고 보톡스도 해달라"며 "치아교정도 해주고 다 해줘야지 왜 탈모만 해주나"라고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C씨는 "이미 질병으로 인한 탈모는 건보가 적용된다"며 "이런 식으로 자연적인 탈모까지 건보에 적용하면 그게 건강보험인가, 미용보험이지"라고 반대했다.
민주당 선대위가 만든 국민 공약 참여 플랫폼인 '이재명 플러스' 앱에도 탈모를 넘어 비만약, 코골이 수술, 임플란트 등도 건강보험으로 지원해달라는 요구가 빗발친다.
반면 탈모약 건보 적용에 찬성하는 쪽에서는 탈모를 병으로 보고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맞섰다.
투표에 참여한 이모씨는 "탈모 또한 수많은 사람들이 알리지 못하는 병"이라며 "혼자서 자신감 있게 나설 수 없는 아픔이며 게다가 치료할 수 있는 경제적인 부담까지 안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다른 네티즌도 "감기약은 안 먹으면 죽나, 잠시만의 고통 완화를 위한 대증치료에도 건보를 적용하는데 탈모는 2030에게는 삶의 존재 이유를 상실하는 재앙"이라며 "오죽하면 발기부전 등 부작용 우려에도 비싼 돈 줘가며 사먹겠는가"라고 건보 적용에 찬성했다.
이 후보는 전날(6일) MBC 100분 토론에 출연해 "국민들 대부분, 젊은 사람들이 (탈모약을) 투약할 사람이 많은 데 연애도 어렵고 취직·결혼도 어렵다고 실제 그렇게 얘기하는데 웃을 일이 아니다"며 "약값에 대해 상당히 부담스러워 해서 저는 국민들께서 고통스러워 하는 지점이 있으면 그부분을 해소하는 게 정부의 역할이다"고 말했다.
[사진] 더불어민주당 제공
ⓒ오펀 (www.ohfun.net)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ohfun.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