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등을 풀고 도약·성장하기 위해서는 과학기술밖에없다. 과학기술에 목숨을 걸어야 한다."
윤석열 대통령이 7일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반도체 등 과학기술 인재 육성이 필요하다며 교육부를 향해 첨단산업 발전에 필요한 인재 양성을 주문하면서 한 말이다.
대통령이 국무회의 같은 공식 회의 석상에서 "목숨을 걸어야 한다" 등 다소 과격하게 느껴질 수 있는 표현을 하는 경우는 흔하지 않다.
정치인 출신이 아닌 윤 대통령이 '정치 언어'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오지만 한편으로는 윤 대통령 자신이 생각한 바를 에둘러서 표현하지 못하는, 직설적인 성격 때문이라는 해석도 있다.
본인이 생각하는 바를 분명하게 전달하는 만큼 말이 갖는 힘이 직접적인 데다 대통령의 발언을 '해석'할 여지가 줄어든다는 면에서는 '실용적'인 측면도 있어 보인다.
지난달 말 국회에서 소상공인 손실보상을 위한 추가경정예산안 처리가 불발됐을 때도 윤 대통령은 직설적인 표현으로 국회를 비판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달 27일 "혹시 추경안이 처리될까 싶어 오후 8시까지 사무실을 지켰지만 결국 국회는 서민들의 간절함에 화답하지 않았다"며 "국회가 이렇게까지 협조하지 않을 줄은 몰랐다"고 말했다.
이제는 일상적으로 자리잡은 출근길 도어스테핑(즉석 질의응답)에서도 윤 대통령의 직설 화법은 종종 목격된다.
윤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국회에서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안이 의결된 다음날인 30일 출근길에 기자들이 '이로 인한 물가 상승이 우려된다는 지적이 있다'고 묻자 "그럼 추경을 안 합니까"라고 대뜸 반문하면서 "지금 영세자영업자들은 숨이 넘어갑니다. 그걸 먼저 생각해야죠"라며 말했다.
윤 대통령이 참모회의 등 공식석상에서 정제된 '대통령의 언어'보다는 가급적 일상의 언어를 사용하려 한다는 점도 특징이다.
윤 대통령은 지난달 11일 취임 후 첫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어려운 경제상황이란 것이 정권이 교체한다고 잠시 쉬어주는 것도 아니고"라고 표현하며 민생 경제 대책을 주문했다.
다만 윤 대통령의 직설적 언어는 문제를 풀기보다 갈등을 증폭시킬 수도 있어 주의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윤 대통령은 전날(7일)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문재인 전 대통령 양산 사저 주위에서 연일 이어지는 보수단체 시위에 대한 질문을 받고 "대통령 집무실도 시위가 허가되는 판"이라며 "법에 따라서 되지 않겠나"라고 밝해 야권의 비판을 불렀다.
ⓒ오펀 (www.ohfun.net)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ohfun.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