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대표의 운명은 어떻게 될까?
국민의힘이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 체제로 전환된다. 국민의힘 상임전국위는 현재 당이 비상상황인 것으로 보고 지도체제를 비상대책위원회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 이와 함께 원활한 비대위 전환을 위해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인 권성동에게 비대위원장 임명권을 부여하는 당헌 개정안을 함께 의결했다.

이날 상임전국위는 두 가지 안을 놓고 투표했다. 직무대행에게 비대위원장 임명권을 줘 비대위로 전환하는 것이 최고위가 제출한 개정안이었다. 반면 조해진과 하태경 의원이 낸 안도 있었다. 이것은 현재 당대표 직무 정지 상태인 이준석 대표가 복귀하기 전까지만 비대위 기간을 유지하도록 하는 안이었다. 둘 중 최고위의 안이 통과됐다.
비대위가 출범하면서 자동으로 최고위가 해산될 경우 이준석 대표는 복귀가 불가하다는 결론이 내려졌다. 상임전국위 서병수 의장은 "이준석 복귀 불가라고 해석해도 되는가"라는 질문에 "당헌당규 상에 그렇게 적혀있다. 비대위가 구성되면 그 즉시 최고위가 해산되기 때문에 당대표 직위도 사라진다"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 결정에 반발도 일어나고 있다. 유의동 국민의힘 의원은 "실질적으로 당대표를 해임하는 거나 다름없다"라고 반발했고 하태경 의원은 "편법으로 비대위로 가면 우리 당은 법원으로 간다"라면서 "이준석은 대응을 하지 않을 수 없다. 당내 파워 싸움이 멈추지 않게 된다"라고 지적했다.
이준석 대표는 여권과 전면전을 선포했다. 일단 국민의힘 상임전국위가 이러한 결론을 내리자 이에 대한 효력 정지 가처분을 신청할 계획이다. 그는 "내가 직접 법적 대응에 나서겠다"라면서 "가처분 신청은 거의 무조건 한다고 보면 된다. 가처분 신청을 법원에 제출하는 시점에서 공개 기자회견을 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이준석 대표를 지지하는 당원들로 꾸려진 '국민의힘 바로 세우기(국바세)'도 비대위 출범을 막기 위해서 집단 소송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국바세에 참여 의사를 밝힌 국민의힘 당원들은 4,500명을 넘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준석 대표가 이들과 손 잡고 여론전 등 전면에 나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국민의힘이 본격적으로 법적 싸움에 휘말리게 된다면 여당의 혼란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한 정치권 관계자는 법원이 정당의 일에 관여해온 판례가 없다고 지적하면서 이준석 대표가 소송을 걸더라도 기각될 가능성이 높다고 짚었다. 만일 기각이 될 경우 이준석 대표에게는 상당한 타격이 될 전망이다.
일단 국민의힘은 윤석열 대통령 취임 100일이 되는 17일 이전까지 비대위 구성을 마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오는 9일 전국위원회에서 권성동 당대표 권한대행이 비상대책위원장을 임명할 수 있도록 당헌을 개정하고 비대위원장을 임명하는 수순을 밟으면 비대위가 공식 출범할 예정이다.
ⓒ오펀 (www.ohfun.net)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ohfun.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