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면 받지 못했지만 덤덤한 모습이다.
이명박 전 대통령이 8.15 광복절 특별사면 문제에 대해 자신의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명박 전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알려져 있는 국민의힘 이재오 상임고문이 KBS 라디오 '최영일의 시사본부'에 출연해 이명박 전 대통령과 특별사면 문제로 통화를 했다면서 내용을 공개했다.

이재오 상임고문은 방송에서 "이명박 전 대통령과 그 건 때문에 아침에 통화를 했다"라면서 이명박 전 대통령의 첫 마디가 "윤석열 대통령이 생각이 있을 것 아니냐"였다고 전했다. 자신이 특별사면을 받지 못한 부분에 대해 윤석열 대통령이 나름대로 생각을 하고 내린 결정이었을 것이라는 이야기다.
그러면서 이명박 전 대통령은 "윤석열 대통령이 국정을 안정시키는데 있어 내 사면을 하지 않는 것이 도움 된다면 그렇게 해도 좋다"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이 30% 밑으로 내려간 상황에서 국민 여론이 좋지 않은 정치인을 사면하면 국정운영에 부담이 될 수 있기 때문.
이어서 이명박 전 대통령은 이재오 상임고문에게 "그래도 내가 대통령을 했던 사람인데 국가와 당이 안정되는데 내 사면이 제외된다면 받아들이겠다"라면서 "어디 나가서 너무 사면 해주지 않는다는 이야기를 하지 말라"고 당부했다.
현재 이명박 전 대통령은 벌금 130억원을 완납한다는 조건 하에 2036년까지 수감이 예정돼 있다. 그는 퇴임 이후 뇌물, 횡령, 직권남용, 대통령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위반 등으로 기소됐다. 이후 뇌물죄에 대해서는 징역 12년과 벌금 130억원을 선고 받았고 횡령 등 나머지 범죄에 대해서는 징역 5년이 선고됐다.
대신 현재 이명박 전 대통령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자신의 자택에 머물고 있다. 안양교도소에서 수감 생활을 하고 있었지만 지난 6월 당뇨를 비롯한 여러 질병으로 건강상태가 악화됐기 때문. 따라서 이명박 전 대통령은 3개월 동안 형집행정지를 받아 자택에서 치료를 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 시절에도 한 차례 사면이 검토된 바 있다. 하지만 당시 문재인 정부 측은 국민 여론을 살핀 이후 이명박 전 대통령을 사면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당시 사면을 반대하는 여론이 50%에 달하는 등 국민들의 시선이 달갑지 않았기 때문. 결국 이명박 전 대통령의 사면 논의는 윤석열 정부로 넘어갔다.
하지만 윤석열 정부는 결론적으로 이명박 전 대통령을 포함해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 등 여야 정치권 인사들을 사면 대상에서 제외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신 경제인들은 사면이 예정돼 있다. 법무부 사면심사위원회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등에 대한 사면 심사 절차를 마무리한 것으로 전해졌다.
ⓒ오펀 (www.ohfun.net)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ohfun.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