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수석 자리엔 조수석이 없다. 그 대신 여행 캐리어 등을 실는 대형 수납공간이 자리했다. 트렁크 공간도 사라졌다. 휠체어가 여유롭게 들어갈 수 있는 넓은 탑승 공간으로 탈바꿈했다.
현대자동차그룹이 지난 16일 최초로 공개한 공항 픽업용 콘셉트의 목적 기반 모빌리티(PBV) 모습은 공항 콜밴의 내부 모습과 큰 차이를 보였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이날 서울 서초구 'UX 스튜디오 서울'에서 현재 개발 중인 PBV '테스트 벅(차량이나 부품 등의 개발 과정에서 사용성 검증 등을 목적으로 사전에 제작하는 모형)' 등을 공개했다.
UX 스튜디오 서울은 차량 초기 콘셉트 개발부터 양산 직전의 상품성 검증 단계까지 고객을 초청해 UX에 대한 의견을 듣고, 이를 상품에 반영하기 위해 만들어진 차량 UX 연구개발 전용 공간이다.
1층에는 PBV 초기 개발 과정에서 콘셉트 개발을 위해 나무로 만든 ‘스터디 벅’과 기술이 실제로 구현된 ‘엔지니어링 벅’이 전시됐다. 차량의 초기 콘셉트가 어떤 과정을 거쳐 실체화되는지를 볼 수 있었다.
현대차그룹 연구원은 2025년을 목표로 개발 중인 PBV 전용 전기차 플랫폼 기반의 ‘공항 픽업용 PBV’ 콘셉트 엔지니어링 벅에서 UX 관련 아이디어를 어떻게 구체화했는지 새롭게 도입한 기술 25가지를 직접 보여줬다.
조수석 대신 캐리어 거치대를 만들었다. 승객이 탑승하기 직전 편하게 짐을 실을 수 있도록 캐리어 거치대가 도어 앞까지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했다. 현재 공항 콜밴은 뒷쪽 트렁크에 짐을 실지만 현대차그룹 PBV는 트렁크 공간을 없앴다. 그 대신 최대 5명까지 탑승할 수 있도록 했다.
덩치가 큰 탑승객들이 서로 어깨가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맨 뒷좌석 가운데 좌석을 앞으로 빼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했다. 좌석이 상대적으로 좁은 뒤를 바라보는 좌석 두 개 중 하나를 옆으로 살짝 이동할 수 있도록 해 역시 서로 부딪히는 일이 없도록 했다.
2층에는 현대차그룹이 UX 개발을 위해 실제 연구하고 있는 결과물들과 연구 방법들이 공개됐다.
현대트랜시스는 사용자별 라이프 스타일을 고려한 '다목적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을, 현대모비스는 고도 자율주행 차량의 탑승객 편의성을 높여주는 ‘모드 변환 콕핏’을 선보였다.
'다목적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은 부모가 유아를 운전석과 보조석에서 돌볼 수 있는 '차일드 케어' 모드, 개인 좌석별로 음악 등 설정을 다르게 할 수 있는 '개인화 모드', 최적의 편안함을 제공하는 'VIP 모드' 등 6가지 모드를 제공했다.
'모드 변환 콕핏'은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동작을 읽어 불안한 자세일 경우 경고를 해주거나, 어떤 자세를 원하는지를 파악해 시트 각도와 디스플레이, 조작계 등이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모드로 바꿔준다.
현대차·기아와 미국 MIT 미디어 랩이 공동 개발한 ‘반응형 PBV 시트 콘셉트’는 승객의 체형에 맞게 시트 모양을 변형시켜 주는 기술이 적용됐다.
가장 인상 깊었던 곳은 초청된 사용자들이 직접 대형스크린을 통해 구현된 실제 주행 환경을 경험하면서 UX 관련 피드백을 주고 받는 연구공간 'UX 미디어룸'이었다.
조영석 책임은 "기존에는 실제 차가 나온 뒤 소비자들이 차를 타면서 피드백이 이뤄지는 수준이었지만 이제는 개발 단계부터 차의 방향성이나 목적성을 검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양희원 부사장은 이날 UX 스튜디오 서울 공개 전 예술의 전당 오페라하우스 무궁화 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고객들은 더 다양하고 특별한 경험을 기대하고 있다”며 “PBV 등 새로운 모빌리티 환경에서 최고의 경험을 선사할 수 있도록 UX 개발에 더욱 매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오펀 (www.ohfun.net)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ohfun.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