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AI가 제작하는 웹툰 숏폼 영상인 ‘헬릭스 숏츠(Helix Shorts)’를 론칭하고, 이를 카카오페이지 전체 이용자에게 적용 완료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서비스는 카카오엔터의 세 번째 AI 기술 기반 서비스로, 기존의 콘텐츠 탐색 방식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키며 이용자들에게 직관적인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헬릭스 숏츠’는 웹툰을 짧은 영상으로 자동 제작하는 AI 기반 기술이다. 이 기술은 웹툰의 감정선까지 이해하여 컷 구성, 내레이션, 배경 음악(BGM) 등 전 제작 공정을 자동화한다. 완성된 숏츠는 카카오페이지 앱 내 홈 화면에 노출되어 이용자가 작품 줄거리와 관전 포인트 등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AI 개인화 기반 자동 편성 기술을 통해 각 이용자의 취향과 성향에 맞춰 추천되기 때문에 작품 열람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아진다.
카카오엔터는 기존에도 SNS를 통해 작품 홍보용 숏츠를 선보였으나, 헬릭스 숏츠를 통해 이를 자동화하여 제작 속도와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과거에는 한 편의 숏츠를 제작하는 데 약 3주와 200만 원 가량의 비용이 소요되었지만, 헬릭스 숏츠를 활용하면 약 3시간 만에 6만 원 수준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이러한 빠른 속도로 다량의 숏폼 콘텐츠가 생산됨에 따라 더 많은 작품들을 이용자에게 소개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
기술적으로 헬릭스 숏츠는 이미지와 감정까지 정교하게 이해하는 고도화된 AI 기술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컷 구성, 말풍선, 대사 및 캐릭터 표정 등 웹툰의 주요 요소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줄거리를 자동 요약하고 내레이션 문장을 생성한다. 생성된 내레이션은 TTS(Text-to-Speech) 기술을 통해 자연스러운 음성으로 변환되어 자막과 함께 삽입된다. 이후 스토리 감정선에 맞춰 컷과 이미지 효과(줌 인, 좌우 삽입 등)를 자동으로 매칭하고 주제와 분위기를 반영해 가장 적합한 배경 음악도 추천된다.
카카오엔터는 2023년부터 헬릭스 숏츠 개발에 착수하였으며, 2024년에는 첫 테스트를 진행하고 관련 기술에 대한 특허 출원을 마쳤다. 그 결과 올해 2월부터 최근 30일 이내 웹툰 열람 이력이 있는 전체 이용자에게 헬릭스 숏츠 적용을 완료하였다. 현재 카카오페이지에서 노출되는 전체 숏츠 중 약 40%가 헬릭스 숏츠로 제작된 영상이다.
김기범 카카오엔터테인먼트 CTO는 “헬릭스 숏츠를 통해 이용자에게 직관적인 콘텐츠 탐색 경험을 제공하고 창작자에게는 작품을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며 “카카오엔터는 창작 생태계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AI 기술 연구 개발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론칭은 카카오페이지 사용자들에게 새로운 콘텐츠 탐색 방식을 제안하며, 창작자들에게도 더 많은 작품 노출 기회를 제공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헬릭스 숏츠 비중을 점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며, 상반기 중에는 AI 에이전트를 도입하여 검수 및 편집 단계에서 들어가는 사람의 작업도 자동화함으로써 접근성과 제작 효율성을 더욱 높일 예정이다.
[출처=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제공]
ⓒ오펀 (www.ohfun.net)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ohfun.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