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애주기를 볼 때 우리나라 국민 1인당 노동소득은 41세에 3628만원으로 정점을 찍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이 없는 유년기와 청년기를 거쳐 28세부터 흑자구조를 나타낸 뒤 은퇴시기인 59세 이후로는 다시 적자로 전환하는 구조다.
통계청이 25일 발간한 '2019년 국민이전계정'에 따르면 2019년 우리나라 국민 전연령의 노동소득(임금+자영업소득)은 전년 대비 4.9% 증가한 924조7150억원을 기록했다.
소비는 전년 대비 4.6% 증가한 1102조7320억원으로 집계됐다. 소득에서 소비를 뺀 생애주기적자 규모는 132조895억원으로 전년보다 2.3% 증가했다.
연령계층별로 보면 15~64세의 노동연령층은 131조7000억원의 흑자가 발생한 반면 0~14세 유년층과 65세 이상 노년층은 각각 147조5000억원, 117조1000억원의 적자를 기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애주기별로 보면 0세에서 27세까지는 소득보다 소비가 많아 적자가 발생하고 28세부터 59세부터는 흑자로 전환한다. 이후 59세부터는 다시 적자가 발생하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적자 규모가 커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중 44세에 1594만원으로 최대 흑자가 나타난 반면, 17세에는 3437만원으로 최대 적자를 기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당 노동소득은 생애주기 가운데 경제활동이 가장 활발한 41세에 3437만원으로 정점을 찍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전 조사 보다 4세 빨라진 것이다.
반면 소비는 17세에 3462만원으로 최대를 기록했다. 통상 중학교 3학년~고등학교 1학년에 해당하는 시기로 소득이 없는 반면 교육비 지출이 크기 때문이다.
소득이 없는 유년층과 은퇴세대인 노년층은 재배분을 통해 적자를 메우는 반면 주 생산연령층은 유년층과 노년층에 대한 재배분으로 소득 유출이 컸다.
유년층은 147조5000억원이 재배분을 통해 순유입되고 노년층도 117조1000억원의 순유입이 발생했다. 반면 노동연령층은 재배분을 통해 131조7000억원이 순유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국민이전계정은 저출산·고령화 현상이 심화되는 가운데 정부재정의 운용, 세대간 재정부담과 사적이전 등을 파악하기 위해 매년 작성되는 통계다.
[사진] 통계청 제공
ⓒ오펀 (www.ohfun.net)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ohfun.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