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은 2024년 12월, 예상보다 빠르게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건강하게 오래 사는 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2030 세대를 중심으로 저속노화가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KBS의 프로그램 <이슈 PICK 쌤과 함께>에서는 오는 5월 18일 오후 7시 10분에 방송될 예정이다.
이번 방송에서는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조경아 교수가 출연해 노화 예방의 시대를 주제로 이야기한다. 조 교수는 현대인들이 찾고 있는 '21세기 불로초'에 대해 설명하며, 단순히 노화가 자연스러운 과정이라는 관점에서 벗어나 노화 예방을 위한 과학적 접근 방식을 강조할 예정이다.
조 교수는 최근 사람들의 관심이 단순한 장수를 넘어서 '9988', 즉 '99세까지 팔팔하게' 나이 드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언급했다. 기대 수명보다 더 중요한 것은 건강 수명인데, 대한민국에서 태어난 아기의 기대 수명은 약 83세인 반면 건강 수명은 72세로, 두 수치 간에는 약 10년 이상의 차이가 존재한다. 이는 개인적인 고통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비용 발생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노화가 질병인지 현상인지에 대한 논란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노화를 질병으로 간주하고 이에 따른 의약품 개발을 위해 관련 질병 코드를 부여한 바 있다. 하버드 대학교 의학대학원 유전학과의 데이비드 싱클레어 교수 또한 자신의 저서 <노화의 종말>을 통해 노화를 예방할 수 있다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
노화 생체 지표가 부족한 현재 상황에서도 전문가들은 세포를 통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인간의 몸은 다양한 세포 분열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정 횟수의 세포 분열 후 분열을 멈추는 상태를 '노화세포'라고 한다. 젊은 조직에서는 이러한 노화세포의 비율이 낮지만 나이가 들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나쁜 노화세포 제거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신 기술 및 이론에 대한 정보도 방송에서 다뤄질 예정이다.
또한, 조 교수는 특별한 기술 없이도 실천 가능한 백세인의 연구 결과를 통해 건강한 장수를 위한 비법을 소개한다. 백세인들은 균형 잡힌 식단과 높은 활동량을 유지하며 긍정적인 생활 태도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그들의 생활습관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했다.
그는 미국의 지미 카터 전 대통령 사례를 들어 타고난 유전자보다 관리가 중요하다는 점을 설명했다. 카터 전 대통령은 암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었으나 자신의 생활 습관 덕분에 백세인의 반열에 올랐다.
조 교수는 또한 국가 차원에서 노화를 예방하기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싱가포르를 예로 들며 국가적 지원과 프로그램들이 국민 모두에게 건강하게 장수할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대한민국에도 국립노화연구소 설립 필요성을 강조하며 현재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KBS <이슈 PICK 쌤과 함께> 방송은 많은 시청자들에게 중요한 정보를 전달하는 기회가 될 것이며, 이후 KBS 홈페이지 및 wavve, 유튜브 KBS 교양 채널에서도 다시 볼 수 있다.
[출처= KBS 제공]
ⓒ오펀 (www.ohfun.net)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ohfun.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