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중국산 백신은 우리나라에 들어오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대한민국 정부가 중국에서 만든 백신은 구매하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국회에서 열린 보건복지위원회에 참석해 국민의힘 서정숙 의원이 "중국산 불활화 백신을 확보할 것이냐"는 질문에 "정부는 불활화 백신에 접근하고 있지 않다"라고 답변했다.

코로나19의 발원지로 알려져 있는 중국은 현재 백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 25일 중국 국유 제약회사인 시노팜은 자사가 개발한 코로나19 백신 출시를 신청했다. 시노팜 회장은 자사의 코로나19 백신을 긴급 접종한 사람이 100만명 가까우며 심각한 부작용은 1건도 보고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중국은 이를 바탕으로 국제적 영향력을 키우고 싶어한다. 중국 외교부는 "우리는 백신을 공공재로 합리적 가격에 세계에 제공할 것"이라면서 "무상원조 등 각종 방식으로 개발도상국에 백신을 먼저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중국산 백신의 안전성에 대해 불신의 눈초리가 많다.
현재 정부는 전 국민의 60%에 해당하는 3천만명 분의 코로나19 백신을 확보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국제 백신협약인 '코백스 퍼실리티'를 통해 천만명 분에 대해서는 선구매 대금을 지급해 확보했고 나머지는 개별 기업들과 구매 계약을 논의하고 있다.
이 논의 과정 속에서는 중국 기업의 백신이 포함되지 않았다는 것이 박 장관의 설명이다. 하지만 변수는 있다. 민간 기업이 개별적으로 중국 기업과 구매하는 것. 특히 민간 기업들의 입장에서는 중국산 백신이 불활화 백신인 점에서 매력을 느끼는 것으로 알려졌다.
백신은 유전자, 재조합, 전달체, 불활화 등의 종류로 나눌 수 있다. 화이자나 모더나 백신은 유해한 물질을 제거한 코로나19 유사 유전자를 인체에 투입하는 유전자 백신이고 아스트라제네카는 인체에 무해한 바이러스를 운반해 중화항체를 유도하는 전달체 백신이다.
반면 중국에서 개발한 백신은 불활화 백신이다. 이는 죽은 백신을 인체에 투입하는 방식이다. 가장 전통적인 방식으로 알려져 있는 백신이다. 박 장관은 "불활화 백신은 여러 플랫폼 중에 가장 전통적이고 안정성이 높다. 우리가 그 부분을 소홀히 할 필요는 없다"면서도 "하지만 정부가 나서서 할 일은 아니다. 민간 차원에서 하는 것을 관찰만 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만일 백신이 국내에 들어와도 실제 접종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박 장관은 "신종 백신이 들어오면 식약처에서 안정성 검사를 상당 기간 걸쳐 해야한다"라면서 "다른 나라에서 접종이 시작되더라도 우리나라에서 쓰려면 검사를 다시 해야한다"라고 말했다.
ⓒ오펀 (www.ohfun.net)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ohfun.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