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가 오는 6월 30일부터 7월 15일까지 방송하는 <클래스e> 강좌에서 강수진 박사가 'AI 시대 질문의 기술,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한다. 이 강좌는 매주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오전 5시 30분 EBS 1TV와 밤 10시 EBS 2TV에서 방영된다.
강수진 박사는 국내 최초의 프롬프트 엔지니어로, 하와이 주립대학교에서 한국언어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언어학자다. 그는 AI와 인간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며, 현재 <더 프롬프트 컴퍼니>의 CEO로 재직 중이다. 이번 강의는 생성형 AI와의 효과적인 소통 방법을 제시하며,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프롬프트는 AI에게 특정 작업을 지시하는 텍스트나 명령어를 의미한다. 강의에서는 양질의 질문을 통해 AI로부터 원하는 답변을 얻는 방법을 다룬다. 첫 번째 강의에서는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개념과 중요성을 설명하고, 질문의 변화가 AI의 답변에 미치는 영향을 실제 사례를 통해 보여준다.
두 번째 강의에서는 인간의 대화 원리가 대규모 언어 모델(LLM)과의 대화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이론적으로 접근한다. 강의는 인간 간의 대화 구조와 AI와의 대화 구조의 유사성을 활용하여 효과적인 소통 방법을 안내한다.
세 번째 강의에서는 인간의 상호작용 원리가 LLM과의 대화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다룬다. 사람 간의 상호작용에서 발생하는 언어적, 비언어적 요소들이 AI와의 상호작용에서는 어떻게 변형되는지를 설명하고, 이를 통해 AI를 더욱 능동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네 번째 강의에서는 LLM이 문장을 생성하는 원리를 설명한다. AI가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문장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작동하는 언어적 규칙과 알고리즘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낸다.
다섯 번째 강의에서는 프롬프트를 구성하는 네 가지 기본 요소와 대표적인 네 가지 유형을 설명한다. 이를 통해 프롬프트의 구조를 이해하고, 다양한 상황에 맞는 프롬프트를 설계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
여섯 번째 강의에서는 생성형 AI로부터 더 좋은 답변을 얻기 위한 기초적인 프롬프팅 기법 세 가지를 소개한다. 실제 예시를 통해 프롬프트 작성법을 익히고, 실전에서 적용할 수 있는 팁을 제공한다.
일곱 번째 강의에서는 생성형 AI를 활용한 검색, 번역, 요약 등 실무에 적용 가능한 프롬프팅 기법을 다룬다. 각 작업별로 효과적인 프롬프트와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한 유의사항을 상세히 설명한다.
여덟 번째 강의에서는 생성형 AI의 한계로 지적되는 '환각', '편향', '경향' 현상에 대해 살펴보고,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전략을 제시한다. AI의 한계를 이해하고 이를 보완하는 방법을 실제 사례와 함께 소개한다.
아홉 번째 강의에서는 추론 AI 모델의 개념과 특징을 설명하고, 이러한 모델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프롬프트 기법을 다룬다. 복잡한 추론이 필요한 상황에서 AI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전략을 제안한다.
마지막 열 번째 강의에서는 현재 인공지능 기술의 주요 트렌드 세 가지를 짚어보고, 인공지능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에 대해 깊이 있게 고찰한다.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 끝이 아닌 새로운 시작임을 강조하며, AI 시대를 살아가는 이들에게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이번 강의 시리즈는 생성형 AI를 처음 접하는 일반인부터 AI를 실무에 도입하려는 직장인, 미래의 프롬프트 엔지니어를 꿈꾸는 학생들까지, 인공지능과의 소통 역량을 키우고자 하는 모든 이들에게 필수적인 지침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강의는 EBS 클래스e 홈페이지를 통해 다시 볼 수 있다.
[출처= EBS 제공]
ⓒ오펀 (www.ohfun.net)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ohfun.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