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BS 양대노조는 6월 27일 성명을 발표하고 "TBS는 다시 공영방송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선언했다. 이들은 민영화 실패를 강조하며, 공영방송 복원을 방해하는 모든 책임자들의 퇴진을 요구했다. 노조는 "민영화는 이미 실패했고, 복원을 위한 길만 남았다"고 주장하며, 공영방송 복원을 거부하거나 지연시키는 박노황 이사장, 강양구 경영전략본부장, 김경래 라디오제작본부장의 즉각 퇴진을 촉구했다.
양대노조는 지난 6월 17일 TBS 정상화를 위한 4대 요구사항을 사측에 공식 전달했다. 이 요구사항은 △대표 대행의 즉각 선임 △공영성 복원 선언과 실행계획 수립 △출연기관 해제 무효소송에 대한 법인 명의 보조참가 △실무자 중심의 제작·편성 통합 TF 구성 등으로 구성됐다. 노조는 이 요구에 대해 6월 25일까지 공식적인 답변을 요구했으나, 사측의 반응은 협의가 아닌 회피로 일관했다고 비판했다.
노조는 사측이 대표 대행 선임조차 거부한 이사회가 무책임을 공식화했으며, 민영화 폐기를 선언하지도 않고 행정소송에 나서지도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를 TBS에 심각한 손해를 입힌 책임이며, 배임에 해당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노조는 이사회의 무책임이 서울시의 책임으로 연결된다고 강조했다. 이사회는 오세훈 서울시장의 방송 장악 시도에 침묵했으며, 공영방송 복원을 위한 노조의 제안을 일관되게 외면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사회가 오세훈의 정치 기획을 실무로 집행한 하수인들이자, 공영방송 해체에 일조한 공범이라고 규정했다.
노조는 공영방송 복원에 반대하거나 방해하는 세력은 더 이상 TBS에 머물 수 없다며, 서울시 당연직 이사를 제외한 이사 전원과 주요 경영진의 전면 퇴진을 요구했다. 특히, 사측이 책임자 퇴진 여부를 두고 전 직원 투표를 제안한 데 대해 "투표는 책임 회피의 도피처일 뿐"이라며, 어떠한 방식의 투표에도 참여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노조는 "퇴진 없는 복원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명확히 했다.
마지막으로, TBS 양대노조는 "우리는 퇴진 없는 복원은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며, TBS를 무너뜨린 자들에 대해 모든 가능한 수단을 동원해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선언했다. 이들은 법적 조치에만 머무르지 않고, 사회적·정치적 대응까지 포함하는 전방위적 책임 추궁을 예고했다.
[출처= TBS 노동조합 제공]
ⓒ오펀 (www.ohfun.net)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ohfun.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