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6월 30일, 마포구의회에서 '소각장 너머 제로 웨이스트 도시로'라는 주제로 포럼이 개최된다. 이 포럼은 마포구의회, 마포자원순환네트워크, 서울환경연합이 공동주최하며, 환경재단이 후원한다. 포럼은 오후 4시에 마포구의회 1층 다목적실에서 진행된다.
이번 포럼은 국내 최초로 '제로 웨이스트 도시'라는 단일 주제를 다루는 행사로, 500여 개 지자체가 제로 웨이스트 도시로 전환 중인 유럽의 '제로 웨이스트 도시를 위한 안내서' 국문 번역본이 공개될 예정이다. 포럼은 제로 웨이스트 도시 논의를 촉진하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서울시가 마포구에 소각장 건설을 주장하면서 발생한 갈등을 배경으로 한다.
서울시는 마포구가 주장하는 쓰레기 감량 정책이 비현실적이라며 추가 소각장 건설을 강조해왔다. 그러나 마포구와 주민들은 쓰레기 감량 정책 없는 소각장 건설에 반대하며, 주민에게만 희생을 강요하는 결정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포럼에 앞서 마포자원순환네트워크의 발족식이 진행된다. 이어 서울환경연합과 마포구의회가 함께 포럼을 진행하며, 시민주도 폐기물 감량 정책의 새로운 모델을 모색하고 제도적 개선 과제를 제시할 예정이다.
포럼에서는 잭 맥퀴반이 '제로 웨이스트 도시란 무엇인가'라는 주제로 발제를 진행한다. 그는 유럽이 어떻게 소각장 건설을 중단하고 제로 웨이스트 도시로 전환했는지에 대한 사례를 공유할 예정이다. 서울환경운동연합의 박정음 팀장은 서울시와 마포구에서 적용할 수 있는 제로 웨이스트 도시 정책을 제안하고, 필요한 조례 등의 제도를 발표한다. 마포자원순환네트워크의 오현주는 서울시의 소각장 건설의 모순점과 구체적인 쓰레기 감량 모델을 제시할 예정이다.
포럼의 사회는 알맹상점의 고금숙 공동대표가 맡으며, 토론에는 마포구의회 백남환 의장, 세계소각대안연맹(GAIA)의 문도운 연구위원, 울림두레생협의 심영수 이사장, 마포소각장 추가 백지화 투쟁본부의 성은경 공동대표가 참여한다.
이번 포럼은 마포구의 쓰레기 감량 정책을 둘러싼 갈등을 해소하고, 제로 웨이스트 도시로의 전환을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포럼은 자원순환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도 큰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출처= 서울환경연합 제공]
ⓒ오펀 (www.ohfun.net)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ohfun.net